내맘대로 끄적이는

국가.정부.언론의관계 / 언론자유와 타 권리간의 갈등과 조화 본문

Pen通

국가.정부.언론의관계 / 언론자유와 타 권리간의 갈등과 조화

김익수 2009. 7. 25. 15:25

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입장에서 학생의 입장이 된다는 것은 미묘한 흥미를 자아낸다. 보다 진보적이고 전문화된 커뮤니케이션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 뒤늦게 대학원에 들어가 저널리즘을 전공하고 있지만, 완전히 지식을 해갈시켜 주지는 못하는 것 같다. 이론에 너무 치우쳐 있고, 시대 흐름을 맞춘 새 지식의 유입은 느리다. 수사학과 같은 과목은 대학에서도 배울 수 있는데 하루 빨리 소통+설득+심리+학습공학이론 등이 모두 반영된 퓨전 지식이 국내에도 유입되어야 한다고 본다.

참고로 좀 더 앞선 커뮤니케이션 커리큘럼을 공부하고자 하는 분은 뉴욕주립대 커뮤니케이션 대학원을 눈여겨보라. 이 분야에서 가장 앞서 있지 않나 싶다.

아래 파일은 한국 언론학계의 거목인 서정우 교수님의 언론자유 강의를 들을 때 발제자료와 리포트로 제출돼 A+을 받은 것이다. 관련 전공자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. (출처 없이 베끼기 하는 것은 삼가 주시라)


1. 언론자유와 타 권리간의 갈등과 조화 (사회적 권리 ‘선거질서의 보호’ 사례를 중심으로)

2. ‘국가ㆍ정부ㆍ언론 3자의 관계’ 조화시점 (언론자유와 통제라는 측면과 ‘워싱턴포스트’의 사례를 중심으로)

이렇게 2건이다.

Comments